액티브ETF 투자분야 분석. KINDEX G2전기차&자율주행

한국투자증권 ETF 수수료 0.29%

출신 노리:http://www.kindexetf.com/fund/getFundInfo.etf?fundCD=9002Q&leftMenuNo=29&tabMenuNo=1펀드 매니저:https://www.sedaily.com/NewsView/22NKJZ8C0N”전기 자동차 분야에서 가장 뒤쳐진 일본 자동차 업체에 주목하고 있습니다. 저력이 있는 만큼 정부의 정책 변화가 있어도 곧 앞지를 수 있으니까요.”. 한국 투자 신탁 운용의 팬·우 테크 매니저는 1조 3,000억원에 “www.sedaily.com”한국 투자 신탁 운용의 팬·우 테크 매니저는 1조 3,000억원에 육박하는 “한국 투자 글로벌 전기 차&배터리 펀드”를 3년 8개월간 운용하고 온 글로벌 전기 차시장 전문가다. 2017년 10월에 출시된 이 펀드는 국내 운용사가 운용하는 해외 주식형 펀드 중 최대 규모로 성장했다. 해외 주식형 펀드는 피델리티 글로벌 테크놀로지 펀드의 경우 순자산 기준 2조9,761억원으로 1위, AB 미국 그로스 펀드가 1조5,499억원으로 2위. 한국 투자 글로벌 전기차 & 배터리 펀드가 1조2,749억원으로 그 뒤를 잇고 있다.

황우택 매니저가 운용한 한국투자 글로벌 전기차 & 배터리 펀드를 보면

출처 : 한국투자증권

출처: 한국투자증권 유형 평균보다 수익률이 높다.향후 운용 계획을 보면,

출처: 한국투자증권 이를 통해 펀드매니저의 운용계획을 엿볼 수 있다.이 ETF의 벤치마크 지수는 Factset US-China Electric & Autonomous Vehicle Index.이 지수를 초과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ETF.(2018년 9월 21일부터 시작된 Index. 약 3년 강)

출처 : https://www.solactive.com/indices/ ?se=1&index=DE000SL0EYN9 #detail 2018년 9월 21일: 지수 100으로 시작. ETF의 생성 시점은 2022년 2월 15일 ~ 2022년 2월 16일의 지수가격은 349.21.

2018-12-3186.68-13.3% 2019-12-311 4.89 32.5% 2020-12-312 62.78 128.7% 2021-12-31394.5250.1% 2022-03-043 19.21-19.1% ETF 상장 후 운용성과를 보면,

KINDEX G2 전기차&자율주행 ETF 투자분야별 비중 및 기업분석. – 2022년 3월 2일 기준.미국 : 54.11% 중국 38.85%

  1. 전기자동차: 20.25% 2.2차 전지: 22.19% 3. 반도체: 14.2% 4. 자율주행: 11.21% 5. 충전소: 2.34% 6. 공유차: 4.05%
  2. 완성차 부분은 미국과 중국, 대체로 각각 같은 비중으로 50:50 테슬라. 리비안 포드 GM 등 미국의 전기차와 중국의 BYD, NIO, XPENG, 상하이자동차 등이다. 유명한 메이커는 모두 나오는 2차전지는 중국 우위.자율주행은 미국 우위, 반도체는 미국 우위, 충전소 및 공유차도 미국 우위.
  3. 결론적으로는 미국과 중국에 투자하겠지만 중국은 완성차와 2차전지 중심, 미국은 전기차 산업 인프라 전반에 투자할 것으로 보인다.

error: Content is protected !!